컨텐츠 바로가기


  • 개인인감도장
  • 수조각전문방
  • 법인인감 / 직인 / 공인
  • 사무용 결재인
  • 스탬프 / 고무인
  • 탯줄도장
  • 단체도장(졸업도장)
  • 인장관련상품
  • 공인(훈민정음해례본)

  • 공지사항
  • 상품 Q&A
  • 상품 사용후기
  • 도장이야기
  • 주문게시판

현재 위치

  1. 게시판
  2. 도장이야기

도장이야기

도장이야기

게시판 상세
제목 인장의 역사
작성자 최흥묵 (ip:)
  • 작성일 2015-06-24
  • 추천 추천하기
  • 조회수 756
  • 평점 0점

인장의 역사

      

인장인장은 본래 정치에 있어 신비하게 하는 신물 또는 사정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인장의 역사는우리나라의 경우 일찍이 환인이 그 아들 환웅에게 천하를 다스리고 인간세상을 구하게 함에

있어 천부인 세 개를 주어 보냈다는 단군고사에 나타나는 천부인삼방, 중국의 연대를 알 수 없는 삼과,

메소포타미아지역의 수메르인들이 사용했던 원통형 인장, 그리고 이집트 고대 무덤에서 발굴된 청금석

도장 혹은 반지로 끼고 다니던 반지도장, 인도의 모헨조다로와 하랍빠유적지에서 출토된 아직도 해독되지

않은 여러 문자가 새겨진 도장들, 남미의 마야와 잉카 유적지 등에서 출토된 도장, 그리고 고대 미노스

문명을 꽃피웠던 크레타 섬에서 발굴된 도장등 전 문명권에서 모두 출토되고 있는데 이로 미루어 짐작

해보면 도장이란 인간이 집단 생활을 한 먼 옛날부터 중요하게 쓰여져왔다고 할 수 있다. 도장 혹은 인장은

쓰이는 목적과 용도에 따라 크게 官印私印으로 구별된다. 먼저 관인에는 황제가 쓰던 사를 포함하여

등이 있는데 관인이란 말 그대로 집정에 쓰이던 도장을 말한다. 관인은 모두 정해진 인장제도에

따라 계급과 신분지위에 따라 그에 알맞게 만들어졌으며 황제가 쓰던 사, 열후가 쓰던 자, 그리고 그

이하의 관리가 쓰던 인, 그리고 그보다 더 하급관리가 사용하던 검기 혹은 착기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이 인장은 백성을 통치하고 천하를 다스리기 위한 하나의 신표였기 때문에인장의 규격과 사용에는

예로부터 엄격한 제도가 있어 그 제도가 규정한 대로 인장의 규격이나 재질 그리고 용도는 물론이고

신분에 따라 인장에 새길 수 있는 자와 없는 자, 그리고 인장을 매는 끈의 색깔까지도 제한을 두어 인장이

그 착용자의 신분을 증명하는 신표였다. 이러한 인장제도가 처음으로 확립된 것은 진시황때부터인데

진시황은 으로 새로 만들어 옥새라고 칭하였다.

그 이전에는商固時代로부터 줄곧 쓰여오던 工具를 나타내는 말인 녑을 사용하였는데 그것이 곧 고대의 사

였다. 녑의 형상은 위에 인을 그리고 천을 아래에 두어 눌러 찍는 것을 의미한 것이다. 녑은 다시 녑과

그 뜻이 같은 사를 취하고재질을 뜻하는 토를 받침으로 삼아 새라고 하였다.

사의 받침으로 가 아닌 옥을 쓰기 시작한 것은 진시황이 신표의 재질을 옥으로 쓰면서부터였으며 그 이

후에는 계속 사를 황제의 신표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하였다. 사와 같은 말인 ()란 당나라 무후가

사의 와 같다하여 로 고쳤으므로 그뒤 황제의 사를 ()라고도 불리웠다고 한다.

장은 악과 같은 뜻을 가진 말로서 을 취하여 만들어졌다고 하는데 음악과 같이 시종일관 이치에

맞는것, 즉 음악에서 화음을 이루듯이 제도를 시행하는데에도 이치에 맞게 시행함을 뜻한다.

인은 갑골문에 보면 손으로 사람을 눌어 꿇어 앉히는 형상인으로서 사자와 더불어 눌러찍는다는 ()

뜻이며 성문자에는 "은 집정을 하는데 필요한 이다"라고 하였다. 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란

황제가 천명을 받들어 신민을 다스리므로 사라 했고 인은 관리가 황제제후의 명을 공명정대하게

집행하므로 이라고 했으며 은 제후의 역할이란 황제와 그 밑의 관리들을 음악에서 화음을 이루듯이

조율하는 것이므로 그 듯을 빌어 이라 했다 한다.

私印이란 일반 평민들이 쓰던 것으로 성명인, 아호인, 자인등이 있으며 옛날에는 도장에 대개 이름만 새긴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혹은 之印등의 글자를 보태거나 자, 호 혹은 생년월일등을

새기기도 하였다. 이와같이 官印私印에 뚜렸한 구분이 생기게 된 것은 송대이후 圖書를 수장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某某圖書(모모도서)라는 印文을 새기면서 도서는 곧 인장의 새로운 별명이

되었으며 격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 그 이후부터 공과 사를 가려 관인은 이나 혹은 印章으로 불리웠고

사기, 도서, 도장은 私印이라고 하는 官印私印의 구별이 생기게 되었다.


첨부파일
비밀번호 *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관리자게시 스팸신고 스팸해제
목록 삭제 수정 답변
댓글 수정

비밀번호

수정 취소

/ byte

댓글 입력

댓글달기이름비밀번호관리자답변보기

확인

/ byte


*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

회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


네이버
리뷰이벤트

장바구니 0